반응형
안녕하세요 겸이tv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2020년 6월에 시행된 심화편 12번 문제입니다.
12. 다음 자료의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모습으로 옳은 것은?
벽란정은 예성항 연안에 있으며, 개경에서 30리 떨어져 있다. 사신의 배가 연안에 닿으면 군사들이 금고를 울리며 조서를 맞아 인도하여 벽란정에 들어간다. 벽란정은 두 채로 되어 있는데, 서쪽의 것은 우벽란정이라 부르며 조서를 봉안하고, 동쪽의 것은 좌벽란정이라 부르며 정사-부사를 접대한다. 사신이 개경으로 들어가면 그들이 타고 온 배들은 예성항 내에 정박하게 되므로 뱃사람은 순서를 정해 이곳에서 배를 지킨다. |
ⓛ 활구라고 불리는 은병이 유통되었다.
② 인삼, 담배가 상품 작물로 재배되었다.
③ 내상,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였다.
④ 덕대가 물주에게 자금을 받아 광산을 경영하였다.
⑤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이 시행되었다.
◆ 정답 ⓛ
◆ 해설 : 개경, 예성강, 벽란정이라는 단어를 통해 고려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수도인 개경을 끼고 흐르는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는 고려 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 번영을 누렸다. 고려 시대는 건원중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활구(은병) 등이 주조되어 유통되었으나, 화폐가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② 조선후기 인삼, 담배 등의 상품 작물이 널리 재배되었다. ③ 조선 후기 동래의 내상, 의주의 만상 등은 대외 무역을 통해 성장한 대표적인 사상이다. ④ 조선 후기 상인 물주들이 덕대라는 광산 전문 경영인을 고용하여 광산을 개발하였다.
⑤ 광해군이 즉위하자 마자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을 시행하었다.
반응형
'한국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편) 47회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심화(2020-06월 23번) (0) | 2020.07.09 |
---|---|
(개편) 47회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심화(2020-06월 25번) (0) | 2020.07.09 |
(개편) 47회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심화(2020-06월 9번) (0) | 2020.07.09 |
후고구려의 국호 변화 및 수도 위치 (0) | 2020.06.30 |
대야성 전투(642년) (1)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