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겸이tv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2020년 6월에 실시된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47회 17번 문제 해설입니다.
17. 밑줄 그은 "국왕" 재위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기자 : 장영실 님 반갑습니다. 국왕의 명으로 이번에 시각을 알려주는 |
장영실 : 물받이 통에 물이 고이면 지렛대의 힘으로 굴러간 쇠구슬이 인형을 작동시켜 종, 북, 징을 울리게 하고 팻말로 시각을 알리도록 고안하였습니다. |
① 집현전에서 근무하는 관리
② 농사직설을 일고 있는 지방관
③ 칠정산 내-외편을 편찬하는 학자
④ 주자소에서 갑인자를 제작하는 장인
⑤ 화통도감에서 화약 무기를 시험하는 군인
◆ 정답 ⑤
장영실과 자격루 등의 단어를 통해 밑줄 친 국왕은 세종임을 알 수 있다.
⑤ 고려말 왜구의 노략질을 막는 과정에서 1377년 화통도감이라는 기구를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하였고, 최무선은 진포싸움에서 왜구를 물리쳤다. 이후 1389년에 화통도감은 폐지되었다.
◆ 해설
① 세종 시기 집현전의 학자들이 경연을 담당하였다.
② 정초와 변효문 등이 세종의 명으로 농사직설을 간행하였다.
③ 세종은 이슬람 역법인 회회력과 원나라 역법인 수시력을 참조하여 한양의 별자리를 기준으로 자주적인 역법서인 칠정산 내-외편을 편찬하였다.
④ 세종 시기 주자소에서 갑인자를 제작하였다. 주자소는 활자를 제작하던 관청이다.
반응형
'한국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상용 강화도에서 순절?? (0) | 2020.08.13 |
---|---|
계미자와 갑인자(주자소) (0) | 2020.08.13 |
조선 총독부 건물 건설과 철거 (0) | 2020.08.13 |
천산대렵도 (0) | 2020.08.13 |
개편 47회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심화 (2020-06월 10번 문제)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