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거나 챌린지 김창겸입니다
프랑스 혁명 파트에서 나폴레옹 이름이 등장하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나폴레옹은 1799년 쿠테타를 통해 권력을 잡습니다.
이후 1804년 국민투표를 거쳐 황제의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나폴레옹은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나폴레옹이 몰락하는 시점에 아들이 꼴랑 4살이었기 때문에 황제의 자리를
얻지 못하고, 프랑스 부르붕 왕조로 북구됩니다.
그 결과 루이 18세, 샤를 10세가 집권하게 됩니다.
이후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퇴위되고 루이 필리프가 시민의 왕으로 추대됩니다.
하지만 루이 필리프(7월 왕정)는 2월혁명으로 몰락하고 루이 나폴레옹이 대통령이 됩니다.
루이 나폴레옹은 집권 연장을 목적으로 쿠테타를 일으켜 의회를 일시 해산시키고
국민투표를 통해 나폴레옹 3세가 됩니다.
나폴레옹 2세는 없나요?
왜 갑자기 1세 다음에 3세죠?
은근히 자주 물어오는 질문입니다
나폴레옹 아들이 2세인데, 너무 나이가 어려서 즉위하지 못하고 망명 생활을 합니다.
그래서 교과서나 시험에는 나폴레옹 2세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시험에서는 나폴레옹 1세와 나폴레옹 3세의 집권 시기 활동과 업적을 묻습니다.
나폴레옹 3세는 나폴레옹 1세의 조카입니다. 동생의 아들인거죠.
그런데 조카이면서 의봇손자이기도 합니다.
나폴레옹의 의붓딸과 나폴레옹 1세의 동생이 결혼해서 낳은게 나포레옹 3세입니다.
사설 모의고사에 출제된 밑줄 친 그는?
나폴레옹 3세를 말합니다.
시험에 가계도까지 묻지는 않디만 대략적인 관계를 알고 계시라고 설멍해드립니다.
'세계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트린(doctrine) - 먼로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 닉슨 독트린 (0) | 2022.10.13 |
---|---|
짐이 곧 국가이다(=나라님) (0) | 2022.09.27 |
독일 항복 (1) | 2022.09.20 |
알 무스타심 (0) | 2022.09.17 |
사산 왕조 페르시아(오답률 top ) (1)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