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사 자료

삐라의 어원, ' bill'의 일본식 발음

겸토리 2020. 6. 22. 14:15
반응형

안녕하세요 겸이tv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최근 남북간의 갈등이 다시금 표면화되고 있는데요

갈등의 도화선이 된 건 대북전단지(삐라) 때문인데요

여기서 '삐라'의 의미와 어원에 대해 알아볼게요

일단 어원을 보면

bill 이라는 영어 단어를 일본식으로 발음한게 삐라라고 보는게 다수설입니다.

bill 의 뜻은 청구서, 계산서, 영수증 등 여러 의미로 쓰이는데요. '광고', '전단'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광고(지)를 뜻하던 bill을 일본식 발음이 삐라가된거죠( 일본 얘네들 발음은 넘 구린듯)

전쟁중에 적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기 위해 선전물은 종이로 인쇄해서 살포하는거죠

기록을 보면 1938년 중국 한커우에서 창설된 조선의용대도 일본군의 항복과 탈영을 부추기기 위한 목적으로 전단지를 만들어 대형 방패연에 매달아시 날려보냈다고 합니다.

중일전쟁과 2차 대전에서 본격적으로 삐라를 살포한거죠.
2차대전 막바지에 미군은 일본 본토에도 삐라를 뿌렸다고 합니다.
일본 국민의 불안감을 자극하여 여론을 형성시키는거죠.

어쨋든 삐라는 적군을 혼란시키는 전술중에 하나입니다.

박근혜 정권 시기에 대북전단(삐란)을 풍선으로 날리는걸 이미 금지시켰는데 불구하고
최근 이것이 남북의 대립을 조장하고 한반도에 위기감을 형성시키는 불씨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안탑깝습니다.

남북 대립이 심화되면 누가 이득을 보는거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