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

동아시아사 자료 2022. 12. 9. 09:36
반응형

아무거나 챌린지 김창겸입니다. 

 

제주도 자유여행 중에 하멜이 표류했다고 하는 곳에 다녀왔네요

 

하멜은 네덜란드 사람이구요. 

 

조선 후기 제주도에 표류해서 조선에 머물다가 네덜란드로 돌아가서

 

"하멜 표류기"를 남긴 인물이죠.(1653~1666)

 

한국사에서는 출제되지 않구요.

 

동아시아사라는 과목에서 하멜이 출제됩니다. 

 

시험에서는 17세기 조선 후기라는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같은 시기 중국은 청나라이고 일본은 에도막부입니다. 

 

참고로 하멜이 표류했을때 벨테브레(박연)가 통역 역할을 해줍니다. 

 

그럼 누가 먼저 조선에 들어온건지 이해되시죠?

 

 

하멜 옆에 앉아서 찍은 사진도 있는데? 

 

찍은 사람이 사진을 안주네요.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중국사에서 출제되는 회화를 정리해볼게요

 

일단

 

위진남북조 시대 고개지 "여사잠도"

 

송나라때 수도 카이펑의 번화한 모습을 그린 장택단 "청명상하도"

 

그리고 청나라때 쑤저우의 번화한 모습을 그린 "성세자생도"라는 그림이 있습니다.

 

청나라 시기 쑤저우

2023학년 9월 평가원 기출 문제를 보시면.... 성세자생도(고소번화도) 이렇게 설명되 있습니다. 

 

결국 성제자생도와 고소번화도는 같은거네요. 쑤저우의 번화한 모습을 그린 작품입니다. 

 

중국사 부분의 회화는 여사잠도, 청명상하도, 성세자생도(고소번화도)... 이렇게 출제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아무거나 첼랜지 김창겸입니다. 

 

동아시아 과목에서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지엽적이 것들이 간혹 시험에 출제되는데요

 

거란의 수도와 여진의 수도를 구분해야만 정확하게 정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수도는 상경 임황부이구요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의 수도는 상경 회령부입니다. 

 

여기에 발해의 수도인 상경성(상경 용천부)까지 함정으로 출제되니깐 정확하게 구분해두시기 바랍니다. 

발해 수도(상경 용천부)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학원에서 역사 과목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약력을 말씀드리면

현)

스카이에듀 학원

숨마투스 학원

광릉 한샘학원

예지학원

평촌 종로학원

 

전)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 방송

에듀윌 공무원 한국사 인터넷 수능 방송

 

지금 현재도 N수생 중심의 종합반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인강 수업을 진행할때 파이널 강의용으로  모의고사를 활용했는데요. 

 

사이사이 모의고사 표지

 

일반적인 모의고사와 다르게 

 

킬러 문항을 대비한 구간 찾기 문제로만 구성한 모의고사로 진행했습니다.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소위 킬러 문항이라고 하는 (가)와 (나) 사이이의 구간을 찾는 문제를 대비한 모의고사입니다. 

 

1회 20문항 X 5회 (200문항)

 

200문항 모두 구간 찾기 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파이널을 위한 진정한 파이널 교재입니다. (모의고사)

 

지금도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무료로 배부하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상위권 학생들이 선호하는 최고의 모의고사입니다. 

 

1회 모의고사 일부분 발췌 문항

 

2023-수능 동사 모의고사 1회.pdf
0.14MB

 

1회 일부분을 발췌했습니다. 화일을 열고 직접 풀어보세요.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아서 뭘 공부해야할지 고민하는 수험생들에게 적극 권합니다. 

 

모의고사 5회분 구입 문의

 

카카오 채팅(클릭)   http://pf.kakao.com/_vcAUK/chat

 

겸이tv

카카오톡 채팅을 해보세요.

pf.kakao.com

 

카카오 채널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PDF 화일 형태로 이메일로 발송해드릴거에요. (5회분 모의고사와 해설지 포함  1만원 입니다.)

 

사이사이 모의고사(구간 찾기)에 조만간 추가적으로 "다지선다형 모의고사"도 업로드해드릴게요.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아무거나 챌린지 김창겸입니다. 

 

여진족에 의해 건국된 금나라의 수도 변천 과정입니다. 

 

금나라는 상경 회령부에 수도를 두고 건국이 됩니다. 상경 회령부는 만주에 위치합니다. 

 

시험에서는 발해의 "상경성"과 혼동되게 출제합니다. 발해는 상경성, 금나라는 상경 회령부입니다. 

 

1126년 정강의 변을 계기로 북송이 멸망하게 되면서 금나라가 화북 지방 전체를 장악하게 됩니다. 

 

이때 금나라는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게 되는데요. 당시 금나라는 베이징을 중도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다가 13c 몽고의 세력이 커지면서 금나라는 카이펑으로 천도하게 됩니다. 

 

시험에서는 카이펑이 북송의 수도였기 때문에 북송과 혼동하게 출제합니다. 

 

당시 금나라는 카이펑을 남경 개봉부(카이펑)이라고 불렀습니다. 

 

하지만 몽고의 압박으로 카이펑마저 함락되면서 보다 남쪽으로 내려가서 "채주"에 수도를 두게 됩니다. 

 

몽고의 압박이 지속되면서 마지막 수도인 채주가 함락되고 결국 금나라는 몽고에게 멸망하게 됩니다. 

 

 

금나라의 수도를 요약 정리하면

 

상경 회령부 -----> 중도 대흥부(베이징) -----> 남경 개봉부(카이펑) -----> 채주(마지막 수도)

 

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아무거나 첼린지 김창겸입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당시에 신분제를 폐지하고, 6세 이상의 남녀  의무 교육을 시행합니다. 

 

메이지 정부는 국민의 3대 의무를 반포하는데요.

 

국방, 납세, 교육의 의무랍니다. 

 

이중에 교육과 관련된 것이 근대적 학제 반포인에요. 

 

메이지 정부는 1872년 근대적 학제를 반포하면서 6세 이상의 남녀 의무 교육을 시행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소학교, 중학교가 만들어지고요. 추후 1877년 일본 최초의 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 도교 대학이 설립됩니다. 

 

2023학년도 9월 평가원 동아시아사 17번 문제

이러한 칙령을 반포한 국가는 일본 메이지 정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구요. 

 

주어진 사료 밑에서 두번째 줄.... 보통교육이라는 단어를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교육의 반대말은 제한교육입니다. 

 

그럼 보통교육이라는 단어를 통해 신분 등과 같은 차별이 없음을 알 수 있어야 합니다 

 

5번 선지는 조선의 교육 입국 조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열공하셔서 좋은 결실 맺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동아시아사 과목에서 일본의 장원 공령제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헤이안 시대 말기 장원 공령제(10~13세기)가 유행하게 됩니다. 

 

https://youtu.be/zvgjEbre-2s

 

반응형
Posted by 겸토리
,
반응형

⊃조선은 중국과 책봉-조공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선에서 중국에 사절단을 파견합니다. 

 

동아시아 과목에서 출제되는 포인트는?

 

명나라에 파견된 사절단은 조천사라고 불렀고

청나라에 파견된 사절단은 연행사라고 불렀다는게 포인트입니다. 

 

조천사는 천자(황제)의 나라에 조문을 가는 사절단이라는 의미이구요

 

연행사는 청나라 수도 연경(베이징)에 가는 사절단이라는 의미입니다. 

 

조선은 청을 얕잡아 봤기 때문에 사절단의 명칭도 다르게 표현했거구요.

 

다시 한국사에서는 어떤게 출제되냐면요?

 

조선이 중국에 파견한 사절단(조천사, 연행사)가 대략 몇번이냐 갔느냐? 언제 갔느냐? 

 

이때 정월 초하루에 파견한 사절단을 하정사, 동짓날 파견한 사절단은 동지사, 그리고

 

황제나 황후 등의 생일에 파견된 성절사 등이 있습니다. 

 

단순 계산하면 명에 파견된 조천사와 청에 파견된 연행사는 1년에 3번 이상 파견된건데

 

이를 하정사, 동지사, 성절사라고 표현했던거랍니다. 

 

이해되시나요?

 

조천사 & 연행사 ⊃ 하정사, 동지사, 성절사

 

열공하셔서 좋은 결실 맺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동아시아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적 학제 마련(1872)  (2) 2022.09.19
장원 공령제  (0) 2022.03.11
중일 공동 성명(1972) - 중일 평화 우호 조약(1978)  (0) 2021.12.01
태합 검지  (0) 2021.02.03
주인장(슈인장)  (0) 2021.01.22
Posted by 겸토리
,